까다로워도 이해하고 플로우를 짜다보면 재미있는 assignment 였다.
1. workthrough 말고 처음에 문제를 주는 pdf를 읽고 내가 이해한 내용을 종이에 적었음
2. 그리고 이게 맞는지 pdf 의 순서도랑 비교하고 유튜브의 실행 영상만 보면서 확인함
3. 아하..! 내가 무슨 프로그램을 어떻게 만들어야하는지 이해가 갔다!
4. workthrough pdf를 읽어보니까 dispatcher와 performer라고 하는 애들을 사용해서 만들라고 해서 뭔지 이해해야겠다.. 아하, 결국 프로젝트를 2개를 만들고 그걸 각각 프로그램 수행 순서에 따라서 디스패쳐와 퍼포머라고 부르는거구나 그럼 그렇게 내가 이해한 이 프로그램의 프로세스를 작성할 때, 프로젝트를 두가지로 나눠서 진행해야한다는걸 염두에 두고 플로우를 짜야겠구나..!
5. 플로우를 그렸다.. @-@ 이게 맞는걸까... workthough에서는 어떻게 만들라고 하나의 프로그램을 두개의 프로젝트로 나눴는지 내거랑 비교해보니까 똑같다! 그리고 workthrough를 대충 읽어보니까 내가 짠 플로우에서 세부적으로 더 추가하면서 보완했다.
6. 만드는 중... 쉽지 않다... 여러가지 오류가 많다... 실행 한 번 하면 15분은 하염없이 프로그램이 잘 돌아가는지 화면만본다... 15분이 지나고 에러가 떳을때 디버그의 늪에서 벗어나 마우스라도 움직일 수 있는게 살맛나는 일이구나 알게 되었다..
7. 짜잔 완성~! 하고 끝난게 아니라 영상을 찍어야한다. 1시간이 넘게 모니터만 보면서 제발 에러야 나지말아줄래 초조해 해야한다.. 그리고 뭔가 1시간이 넘어서 프로그램이 끝났을때 와아 하고 기뻐하며 업로드 했지만, 데이터가 중간에 누락되어서 0점을 받았다. 마지막에 데이터 확인도 잘 하고 제출해야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리고 너무 점수가 핵상처다.. 그래도 플로우짠거 100번은 양보해도 40점은 줘야하는거 아니냐?! ㅜ-ㅜ 데이터 완벽하게 처리 안됐다고 0점을 주다니ㅠㅠ 로봇은 인정 그딴거 없다... 계산된대로만 움직인다.....
- 하나의 프로그램을 Dispatcher & Performer 로 나누어서 완성시키는 과제였다.
- Orchestrator에 Queue를 사용한다.
- program : work item의 id를 조회해서 해당하는 TaxID를 접근해 monthly reports를 yearly report에 모아 업로드하고, work item의 detail에 comment 와 status를 변경해주는 것.
- Dispatcher : 로그인 - 네비게이터 - [[[[데이터 스크래핑(자동 스크롤 말고, Exist Element activity를 사용해서 page 이동을 해야만한다.. 이때 Dynamic Selector를 제대로 사용해볼 수 있다. 재밌었다!) - queue에 저장]]]] - 로그아웃
- Performer : 로그인 - [[[[queue에 저장한 id 값으로 url 이동 - TaxID를 저장 - monthly report에서 조회 - download 한monthly report 의 내용을 새로운 excel 파일을 만들어서 기입한다(이렇게 기입한 excel 파일이 해당 TaxID의 yearly report가 됨) - 이렇게 얻은 yearly report 를 업로드!]]]]] - 로그아웃
[[[["~"]]]] 로 표시된 부분이 transaction item으로 접근해야할 process부분! 즉, transaction item의 갯수만큼 반복 실행할 아이들이라는 것...ㅠㅠ 이러니까 시간이 오래걸리지!!!!!!!!! ...하지만 실무랑 많이 연관되어 있을 것 같다^^.. 좋은 생각.. 좋은 생각.....
- 이렇게 플로우를 그리고 그대로 만들었다
플로우에 에러는 없었다.. '저장>다른이름으로저장' 버튼의 셀렉터를 잘 못잡아서 time out이 되고 자료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은채 프로젝트가 종료되었다..ㅠㅠ 결국 time out default 값이 30초라는 이야기를 듣고, 1분으로 변경해주었고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었다.. 어쩔 수 없이 영상 찍는데 1시간 반정도 걸렸다ㅠㅠ uipath가 너무 느리면 잠깐 컴퓨터를 꺼서 단 5분이라도 꺼두었다가 다시 켜서 하는 것도 참 좋은 방법인 것 같다...
'프로그래밍 > RP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액티비티에 주석다는 방법 (0) | 2020.03.15 |
---|---|
UIPath Academy Self Study - 12,13일차 (2020.02.24~25) / Certification Done (0) | 2020.02.26 |
UIPath Academy Self Study - 8,9일차 (2020.02.18~19) / LEVEL 3-2 Done (0) | 2020.02.26 |
UIPath Academy Self Study - 7,8일차 (2020.02.17~18) / LEVEL 3-1 Done (0) | 2020.02.26 |
UIPath Academy Self Study - 6일차 (2020.02.11) (0) | 2020.02.11 |